해외주식

AI 슈퍼컴퓨터, 이제 ‘100% 미국산’으로 만든다?

다람쥐 경제탐험 2025. 4. 16. 07:54
반응형

엔비디아 뉴스

 

최근 엔비디아가 발표한 AI 슈퍼컴퓨터 생산 계획, 보셨나요?
이제는 AI 칩부터 슈퍼컴퓨터까지 모두 미국 안에서 만들겠다는 야심 찬 전략을 내놨습니다.

그 규모는 무려 700조 원!

뿐만 아니라, 이번 파트너사 중에는 한국계 기업도 포함돼 있어 한국 투자자들에게도 주목받고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이 뉴스의 핵심 내용을 정리하고, 투자 관점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볼게요.

 

 

 


엔비디아 AI 슈퍼컴퓨터 미국 생산 계획 핵심 요약

  • 기간 : 향후 4년
  • 투자 금액 : 약 5,000억 달러 (한화 약 700조 원)
  • 생산 품목 : AI 칩(블랙웰), AI 슈퍼컴퓨터
  • 생산 위치 : 애리조나, 텍사스 등 미국 현지
  • 파트너사 : TSMC(대만), 앰코테크놀로지(한국계), 폭스콘 등

쉽게 말하면 

미국 안에세 설계 -> 생산 -> 테스트 -> 조립까지 -> 전부 Made in USA !

 


한국 기업 '앰코테크놀로지'가 왜 주목받을까?

이번 파트너사 명단에서 눈에 띄는 기업이 바로 앰코테크놀로지(Amkor Technology) 입니다.

  • 아남그룹 출신 한국계 기업
  • 세계 2위 반도체 패키징 업체
  • 삼성전자, 엔비디아와 협력
  •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패키징 작업 담당

앰코는 국내 주식은 아니지만 엔비디아와 협력한다는 점에서 참고할 만한 기업이에요.

 

 

 


왜 미국 내 생산 전략이 중요할까?

  1. 중국 견제 전략
  2.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
  3. 미국 정부 보조금 혜택 가능

이번 엔비디아 전략은
AI 반도체부터 슈퍼컴퓨터까지 미국 안에서 다 만들겠다는 의미예요.

앞으로 AI 시장은
미국 vs 중국 구도가 더 뚜렷해질 가능성이 높아요.


투자자 입장에서 볼 때?

  • AI 칩 수요는 계속 증가
  • NVIDIA 독점적 위치 강화
  • AI 인프라 관련 ETF & 반도체 기업 주목
  • 앰코 같은 반도체 패키징 기업도 수혜 가능

관련 영상 (30초로 쉽게 보기)

경제 용어 & 최신 뉴스,
30초 영상으로 쉽게 보고 싶다면?

👇 여기를 클릭!

경제 용어 & 최신 뉴스


트럼프, 중국엔 125% 관세 폭탄

 

트럼프, 중국엔 125% 관세 폭탄…한국은 90일 유예 혜택!

2025년 4월,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전격 발표한 상호관세 조정 정책이 전 세계 금융 시장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.중국에는 관세 폭탄(125%), 한국 등 70여 개국엔 관세 유예 혜택이 주어지면

kidstockeng.com

원/달러 환율 급등에 개인투자자 손실...환율 전망은?

 

원/달러 환율 급등에 개인투자자 손실…환율 전망은?

2025년 4월, 원/달러 환율이 1,480원을 넘어서며 개인 투자자들이 환율 하락에 베팅한 투자에서 손실을 입고 있습니다.정치적 불확실성과 미·중 무역 마찰이 겹치며 환율이 급등했고, 개인들의 외

kidstockeng.com

디플레이션 스파이럴 

 

디플레이션 스파이럴 뜻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(Deflationary Spiral)

2025년 경제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, 바로 디플레이션 스파이럴(Deflationary Spiral)입니다.물가가 하락하는 건 소비자에게 좋은 일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, 그 뒤에 숨은 경제 악순환을 모르면

kidstockeng.com

ⓒ 본 블로그에 사용된 '다람쥐 교수' 캐릭터 및 일러스트는 [다람쥐 경제탐험] 프로젝트의 창작자 고유 자산입니다.
무단 복제, 배포, 편집, 캡처, 도용을 금지합니다.
우리는 수익을 재투자해 늘어난 자본으로도 더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업을 선호한다. by 워렌 버핏
포스팅의 내용은 작성일 기준이라 변경될수 있습니다.
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
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합니다.
종목추천을 하지 않습니다.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