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주식

‘금 사고 싶어도 못 산다’…4100달러 시대, 골드바 품귀와 은(銀) 대체투자 열풍의 이유

다람쥐 경제탐험 2025. 10. 16. 12:55
반응형

다람쥐의 경제탐험

“금 사러 갔는데… 없다고요?”
최근 시중은행에서 실제로 이런 대화가 오가고 있습니다.

금값이 사상 최고치인 온스당 4100달러, 1g당 21만9360원을 돌파하면서 한국조폐공사와 금거래소 모두 골드바 공급을 멈췄기 때문입니다.

Gold

🏦 “조폐공사도 금이 없다”…은행 판매 전면 중단

 

 

 

조폐공사는 지난 9월 말부터 은행권에 골드바 납품을 전면 중단했습니다.
생산 라인이 주문 폭주로 밀려, 연말까지는 재개 계획조차 없다라고 합니다.
이 영향으로 국민·신한·우리·농협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이 모두 판매 중단에 들어갔습니다.
그나마 남은 건 한국금거래소 1kg 제품 한정인데, 주문 후 인도까지 한 달 이상이 걸린다고 합니다.

이제는 “돈이 있어도 금을 살 수 없는” 상황이 된 셈입니다.


🌍 왜 이렇게까지 금값이 오를까?

금값 급등의 배경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.

  • 미국 금리 인하 지연 → 달러 강세
  •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
  • 글로벌 경기 둔화 → 안전자산 선호
  • ETF 등 기관자금의 유입

즉, 전통적인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이자 ‘국채 대체 자산’으로서 금의 위상이 강화된 것입니다.
실제로 국제 금 선물 가격은 4100달러를 돌파,
한국거래소(KRX) 기준 1kg 순금 시세는 21만9360원으로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.

메리츠증권 윤여삼 연구원은

 

“이자 수익이 없는 금이 올해 자산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”고 평가했으며
그는 “유동성 확대에 대한 ‘탐욕’과 재정 불안에 대한 ‘공포’가 함께 작용한 결과”라며,
“단기적으로는 우호적 환경이지만 금리 흐름이 향후 변곡점이 될 수 있다”고 진단했습니다.


🪙 금 대신 ‘은’으로 눈 돌린 투자자들

 

 

 

금 실물을 구하기 어려워지자 대체재로 ‘은’(Silver)이 주목받고 있습니다.
한국금거래소 기준으로 은 1돈(3.75g) 가격이 5개월 새 6000원대 → 1만1000원대, 무려 80% 급등했습니다.
전기차·태양광 산업의 산업 수요에 더해, 개인투자자들이 “금 대신 은이라도 사자”는 분위기로 몰리고 있는 것입니다.

실제로 9월 한 달 실버바 판매액이 42억7000만원으로 사상 첫 40억 원대 진입.
올해 누적 104억 원, 전년 대비 13배 증가라는 기록적인 수치를 세웠습니다.


💳 실물보다 ‘계좌 금’…골드뱅킹·실버뱅킹 급증

금 실물이 귀해지자 금융권에서는 골드뱅킹, 실버뱅킹 등 비(非)실물 투자 상품으로 돈이 몰리고 있습니다.

10월 초 기준 골드뱅킹 잔액은 1조5130억 원, 작년 말(7822억 원)의 2배 수준으로 사상 최대입니다.

 

신한은행의 ‘실버리슈’ 계좌 역시 잔액 1000억 원 돌파, “은행 창구보다 앱으로 귀금속을 사는 시대”가 되었습니다.


⚠️ 단기 급등…조정 가능성은?

물론 전문가들은 단기 조정 리스크도 함께 경고하고 있습니다.
금값이 급등하면 투기 수요가 붙고, 이후 금리 인상이나 달러 강세 전환 시 되레 급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금리 정책과 유동성 축소 시점은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.


📈 정리

지금은 “금 사기가 어려운 시대” 입니다.
하지만 투자자 입장에선 새로운 선택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.


실물 대신 ETF, 골드뱅킹, 실버뱅킹, 혹은 금 관련 주식으로 눈을 돌리는 흐름은 금융시장의 ‘리밸런싱’이 일어나는 신호이기도 합니다.

결국 이 모든 현상은 “불확실성의 시대, 안전자산으로의 회귀”라는 큰 그림 속에 있습니다.
정보를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의 격차가 커지는 시점입니다.


👉 판단은 언제나 “사실” 위에서, 냉정하게.


 

🪙 은값, 왜 지금 13년 만에 최고가를 찍었을까?

2025년 6월 기준, 은값이 트로이온스당 36.26달러를 기록하며2012년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를 갱신했습니다. 이 급등은 단순한 투기 현상이 아니라,🔍 산업 수요 + 귀금속 투자라는 이중 수요 구조

kidstockeng.com

 

 

SPLG ETF ( S&P 500 지수에 저비용으로 투자하는 최고의 방법 )

SPLG ETF는 S&P 500 지수를 추종하는 저비용 ETF로, 투자자들에게 미국 주식 시장의 대표적인 500개 기업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. 이 글에서는 SPLG ETF의 주요 특징과 장점, 그리고 SPY

kidstockeng.com

 

 

MSFO ETF 소개, 특징, 배당금 ( 마이크로소프트 , 월배당 )

MSFO ETF (YieldMax MSFT Option Income Strategy ETF) 에 관한 내용 및 배당금 내용을 작성해 봅니다.목차MSFO ETF(YieldMax MSFT Option Income Strategy ETF)는 어떤 상품 인가요? MSFO ETF 자산구성MSFO ETF 주가커버드콜은

kidstockeng.com

 

 

LX세미콘 사업분야, 주가, 연관 ETF, 매출 구성 및 배당금( 디스플레이 구동칩 : DDI )

LX세미콘 사업분야, 주가, 연관 ETF, 매출 구성 및 배당금등의 내용을 작성해 봅니다.LX세미콘은 팹리스 기업으로 핵심부품의 설계 및 제조,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, LG그룹에 소속되어 있습니

kidstockeng.com

 

HD현대일렉트릭 사업분야, 주가, 연관 ETF 및 배당금 ( 분기배당, 밸류업, 전력 인프라 )

HD현대일렉트릭 사업분야,  주가,  연관 ETF 및 배당금에 대해 작성해 봅니다.HD현대일렉트릭: 전기전자기기 및 에너지솔루션 전문기업HD현대일렉트릭은 2017년 4월 1일에 현대중공업으로부터 인

kidstockeng.com

우리는 수익을 재투자해 늘어난 자본으로도 더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업을 선호한다. by 워렌 버핏
ⓒ 본 블로그에 사용된 '다람쥐 교수' 캐릭터 및 일러스트는 [다람쥐 경제탐험] 프로젝트의 창작자 고유 자산입니다.
무단 복제, 배포, 편집, 캡처, 도용을 금지합니다.
포스팅의 내용은 작성일 기준이라 변경될수 있습니다.
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
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합니다.
종목추천을 하지 않습니다.
반응형